본문 바로가기
주식 공부방/주식 이슈

트럼프 관세 정책에 나이키(NIKE) 주가 폭락! 앞으로의 영향은?

by PANDAPRESIDENT 2025. 4. 6.
728x90

나이키(NIKE) 썸네일

 

 

2025년 4월 초,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표한 ‘해방의 날 관세(Liberation Tariffs)’ 정책으로 인해 나이키(NIKE)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. 이 정책은 특히 베트남을 포함한 주요 아시아 제조국들에 대해 최대 50%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으로, 글로벌 공급망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.

 

1. 나이키(NIKE)는 어떤 기업인가?

출처: 위키백과

 

나이키(NIKE)는 세계 최대의 스포츠웨어 브랜드 중 하나로, 의류, 신발, 스포츠 장비 등을 글로벌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. 특히 베트남에서 전체 신발 생산량의 약 50%를 제조하고 있어, 이번 트럼프 관세 정책의 직격탄을 맞은 기업 중 하나다.

 

2. 나이키(NIKE)의 주가 폭락 현황

아래는 2021년 11월 중순부터 4월 초까지의 주가 흐름을 나타낸 차트이다.
4월 2일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이후, 나이키의 주가는 단 이틀 만에 약 15% 하락하였다.

 

출처 : TradingView

 

 

  • 21년 11월 중순 주가: 약 $179
  • 4월 초 주가: $52 수준까지 하락
  • 하락률: 약 -70%

 

3. 왜 나이키(NIKE) 주가가 폭락했을까?

 

3-1) 베트남 생산 의존도

 

나이키는 베트남에서 전체 신발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.
→ 트럼프의 46% 관세 부과는 생산 원가 급등을 의미함.

 

3-2) 원가 상승 → 가격 전가 → 수요 감소

관세가 붙게 되면 소비자 가격이 인상되고, 이는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.
→ 이는 곧 매출 감소 & 수익성 하락의 악순환으로 연결될 가능성.

 

4. 향후 나이키(NIKE)에 미칠 영향

 

📦 생산비용 급등 가능성 (관세 최대 50%)
🛍️ 소비자 수요 가격 인상으로 위축 우려
📉 주가 영향 단기적 하락세 지속 가능성
🌐 공급망 장기적으로 베트남 → 인도, 인도네시아 등지로 다변화 필요
💬 시장 신뢰도 단기적으로 투자심리 위축 가능

 

 

5. 결론 - 지금이 기회일까, 위험일까?

  • 현재 나이키의 하락은 정책 리스크에 따른 단기 충격일 수 있음
  • 다만, 브랜드 파워와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강력함
  • 공급망 재정비 후 회복 가능성이 크므로, 장기 투자자 입장에서는 저가 매수 타이밍으로 볼 여지도 있음

 

향후 트럼프 관세 정책의 지속 여부와 실제 시행 강도에 따라 나이키의 향방이 갈릴 전망이다. 단기 조정일지, 중장기 위기일지는 조금 더 지켜보며 판단하는 것이 좋다.

 

728x90